고용: 건설경기 둔화로 취업자 증가세 둔화
생산가능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섰음에도 불구하고 올해 취업자 증가수는 8월까지 34
만명에 달해 지난해(30만명)보다 고용상황이 호조를 보였다. 50대의 고용률이 1%p
이상 높아지면서 전체 고용증가를 주도했으며 60대 이상 고령층의 취업자도 꾸준히
늘었다. 50대 고용비중이 높은 건설업 경기가 호조를 보이고 고령층 비중이 높은 농
림어업의 취업자 감소 추세가 멈춘 점이 고용확대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내년 경제성장이 수요부문 중 수출이나 설비투자에 비해 고용유발 효과가 높은 소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점은 고용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정부의 소득주
도 성장 정책에 따른 가계소득 확대가 여가문화 등 소득탄력성이 높은 서비스 부문의
소비확대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내년중 공공부문 일자리를 3만명
확대시키고 근로시간 단축을 통해 민간부문의 고용확대를 유도해나갈 계획이다. 다
만 최저임금 인상은 전체 취업자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
칠 것으로 판단된다. 임금인상분 보전을 받지 못하는 사업
체를 중심으로 고용을 줄이고 자동화 투자 등을 늘릴 유인
이 높을 것이다. 소득주도 성장정책으로 노동소득 분배율
이 개선될 것으로 보이지만 취업자수를 늘리는 효과는 불
확실하다.
특히 내년 중 건설투자가 위축되면서 건설업의 고용흡수
력이 크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올 상반기 14만명에
달했던 건설업 취업자 증가수가 하반기 들어 6만명 수준
으로 이미 낮아진 바 있다. 향후 건설투자가 감소세로 돌
아서면서 50대를 중심으로 고용 감소요인이 될 것이다. 내년 취업자 증가수는 올해
보다 다소 둔화된 25만명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된다.
청년실업 문제는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청년고용 확대정책이 시행될 예정이지
만 청년인구의 증가추세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추계되는 가운데 경제성장세 둔
화로 향후 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청년고용을 꺼리는 경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고용축소 효과는 임금수준이 낮은 청년층에 집
중될 것으로 보인다.
'정보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농화학기업들이 바이오작물보호제에 주목하는 이유 (0) | 2018.02.09 |
---|---|
2018 주요 디지털 기술·산업 이슈 (0) | 2018.02.09 |
역대정부 대북지원금 (0) | 2018.02.09 |
온비드 압류재산 공매 물건 안내(2018-3~7회차) (0) | 2018.02.09 |
삥뜯긴 비트코인 이용당한 2030 현재의 아픔말고 비전과 전략을 생각하라. (0) | 2018.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