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마당

부자들이 알려주는 세금 아끼는 노하우 (부자들만의노하우)

부자들의 절세 전략

부자들이 재테크 키워드 중 첫손에 꼽는 게 바로'절세'다.'조세 피난처'가 이슈가 되는

것도 기업이나 자산가들이 세금 문제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보여주는 증거일 수 있다. 탈세가 아닌 정당한 방법으로 세금을 아끼는 방법은 뭘까.

 

법인세나 소득세가 없는 나라가 있다. 남태평양 버진아일랜드나 인도네시아나 영국의 소도시 같은 작은 지역이다. 이른바 '조세 피난처'라고 불리는 곳인데, 다른 말로 하면 세금 대피소다.

이곳에 페이퍼 컴퍼니(사무실 없이 법인만 등록)를 만들어 소득이 나게끔 하고, 그 소득에 대한 세금을 면제받은 기업의 이름이 공개돼 시끌벅적하다.

현행법상 페이퍼 컴퍼니를 세우는 것은 불법이 아니다. 국제 금융 거래시 세금을 줄이기 위해 흔히 쓰는 방법이기도 하다. 다만 거기서 생긴 돈을 한국으로 가져올 때는 세금을 내야 한다. 하지만 그 돈을 해외에서 쓰면 국세청의 레이더망을 피해갈 우려가 있다.

아울러 조세 피난처에 있는 돈 중 일부가 부당하게 모은 비자금일 확률도 있어서 국세청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이다. 물론 독자들이야 조세 피난처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부자들이 그토록 줄이려고 애쓰는 세금을 나는 어떻게 아낄지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다.

이자를 만기에 받지 말고 매월 쪼개 받아라

세금에 관해 달라진 규정이 하나 있다. '금융 소득종합과세' 기준이 4000만원에서 2000만원으로 내려왔다. 금융 소득은 예금 이자나 주식 배당금 같은 것을 말한다. 예전에는 일부 부자들만 관심을 가져야 할 이슈였는데 요즘은 그 폭이 넓어졌다는 의미다. 종합소득세를 내는 사람은 그 소득에 비례해 국민건강보험료를 내야 한다.

대략 월 20만원 정도로 보면 연간 250만~300만원의 추가 지출이 생긴다는 얘기다. 과세 대상자가 될 수도 있는 사람들은 결국 '이자 관리'에 관심이 높다. 그래서 요즘은 이자를 한꺼번에 몰아주지 않고 나눠주는 상품이 많다. 추천할 만한 것은 ELS다. 주가 지수에 관한 옵션을 걸고 이자를 준다.

예를 들면 '주가 지수가 2000을 넘으면 10% 이자를 준다'는 식이다. 지금까지는 '만기 지급식 ELS'가 많았다. 2~3년 정도 넣어두고 만기 때 한꺼번에 이자를 받는 방식이다. 하지만 작년부터는 월 지급식 ELS의 인기가 높다.

이자 받지 말고 채권 값을 깎아라

안전한 투자법으로 추천하는 것이 채권이다. 채권은 '표면 이율'에 따라 이자를 준다. 과세 소득을 관리하려면 표면 이자율이 낮은 채권에 투자하는 게 좋다. '이율이 낮은 상품에 투자하라'니 뜬금없는 소리처럼 들리겠지만, 요즘은 절세형 투자자들을 겨냥해 이자율이 낮은 대신 채권 가격을 할인해 파는 경우가 있다.

올해 1월에 증권가에 등장한 '국민주택2종채'가 그런 경우다. 표면 금리가 0%에 가까운 '제로 쿠폰 채권'인데 액면가에 비해 할인 발행돼 만기에 액면가를 그대로 돌려 받는다. 이자가 없으므로 비과세 되고 할인 금액을 이자만큼 챙기는 상품이다. 또 최근 많아진 것이 보험 상품이다.

10년 이상 장기성 보험들은 연금 보험으로 분류되는데 이것은 현재 종합과세에 해당하지 않는다. 시중 은행에 가면 '방카슈랑스'라고 해서 보험 회사에서 나오는 연금성 상품이 있는데 이런 것을 추천한다. 부자들은 해외 투자에도 관심이 많다. 최근까지 가장 인기가 많았던 것은 브라질 국채 투자다.

브라질과 한국은 조세 협약이 체결돼 있어서 브라질에 세금을 내면 한국에서는 비과세다. 요즘 브라질 경기가 안 좋아서 채권 가격이 떨어지고 현지 환율이 약세긴 한데 장기 투자를 생각하면 염두에 둬도 괜찮다.

세금이 늘어난 건 부동산과 주식이 오른다는 증거다?

금융 상품에 대한 절세 노하우도 중요하지만 '정부에서 왜 세금이 늘렸는지' '그것은 어떤 방향성을 가진 정책인지' 생각해보는 것도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앞서 언급한 금융 소득종합과세 기준을 3000만원 정도로 예상했다. 하지만 정부는 예상을 깨고 2000만원으로 낮췄다. 이자를 받으면 세금을 내야 하는데 정부가 그 세금을 크게 늘렸다.

이것은 은행에 돈을 많이 넣어두지 말고 다른 곳에 쓰라는 정책이다. 박근혜 정부는 시중 자금을 부동산과 주식 시장으로 몰아가는 정책을 쓰고 있다. 4?1 부동산 대책도 그렇고 코스닥시장 활성화 대책도 마찬가지다. 주택 거래도 늘리고, 주식도 올려서 시장을 띄우겠다는 의도다. 다른 정책도 이런 본심이 바닥에 깔려 있다.

벤처 활성화를 부르짖는 것은 코스닥을 살리려는 정책이고, 창조 경제를 강조하는 것은 창업을 많이 하라는 얘기다. 정부가 부동산과 주식 또는 창업 자금 쪽으로 돈을 돌리려고 애쓴다면, 개인도 그쪽에 방향성을 맞춰보는 게 좋다.

절세형 금융 상품을 찾아내는 시각도 중요하지만, 그 이전에 내가 가지고 있는 자산을 어떻게 분배하느냐가 기본적인 재테크 전략이다. 그것을 잘 나눠놔야 세금도 줄일 수 있다